박찬일 셰프의 맛있는 미학

그 옛날 아이스박스의 추억

옛날 신문을 보면 흥미로운 광고가 많다. 계절에 따라 주력 물건도 바뀌었다. 1960년대는 전후의 혼란을 딛고 안락한 가정에 대한 욕망이 극대화되던 시기였다. 겨울에 난로 선전(예전에는 상업적인 광고물도 주로 선전이라고 불렀다), 여름에는 아이스박스였다. 냉장고는 1965년도에 금성사에서 눈표라는 이름으로 첫 제품을 출시했는데, 한동안 아이스박스와 같이 팔렸다. 냉장고는 너무 비쌌기 때문이다.

 

아이스박스는 1980년대까지도 가난한 집 부엌과 포장마차의 냉장고 노릇을 했다. 동네마다 얼음장수가 까만색 짐자전거에 얼음을 잔뜩 싣고 배달하던 장면도 생각난다. 재미있는 건 그들이 겨울에는 석유, 여름엔 얼음을 팔았다. 이유는 묻지 않아도 될 일이다. 이런 ‘양수겸장’업은 일본에서도 똑같이 발견된다. 우리에게 근대를 강제 이식한 일제의 영향력은 그처럼 오래갔다.

 

 

우리 집은 1980년대 초에 냉장고를 샀다. 그 전까지 부엌에는 찬장과 아이스박스가 여름을 지켰다. 얼음 50~100원어치면 하루를 버텼다. 스티로폼으로 형을 짜고, 겉에 시원한 느낌의 푸른색 비닐을 입힌 저가의 아이스박스였다. 고급형은 나무나 금속으로 만든 제품이 있었다. 어쨌든 아이스박스의 냉기를 오래 보존하려고 묘안을 짜내는 게 엄마의 일이었다. 국이나 찌개, 뜨거운 반찬을 만들면 차가운 펌프 물에 식혀서 넣는 건 기본이었다. 여름을 나면, 대개 아이스박스는 집 안 구석으로 밀려났다.

 

우리나라만 아이스박스를 쓴 건 물론 아니었다. 1960년대까지 프랑스와 스페인, 이탈리아의 더운 지역에서는 아이스박스가 고정식 부엌 가구로 사용되었다. 부엌에서 길 밖으로 문을 달아 장사꾼이 부엌 안으로 얼음을 쏟아넣고 갈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나중에 나온 고급형 아이스박스는 냉장고처럼 생긴 모양이었다. 냉기의 특징, 그러니까 위에서 아래로 떨어지는 효과를 이용하기 위해 나무와 철로 짠 틀 위에 얼음을 넣도록 고안했다. 미국의 제너럴일렉트릭사가 가정용 전기냉장고를 양산할 때, 그 모양은 사실 얼음 넣는 아이스박스와 암모니아 가스를 이용한 구식 냉장고를 모방했다고 한다.

 

냉장고의 보급은 우리 삶의 그림도 다시 그리게 만들었다. 집집마다 냉장고를 갓 사들이던 1970년대의 여름은 가루주스가 대유행했다. 미제장수가 파는 오렌지맛 가루를 찬물에 타서 얼음을 띄워내는 게 중요한 접대였다. 나중에 국산이 나와서 수요를 크게 늘렸는데, 남대문 도깨비시장이나 미제장수가 취급하는 물건만 못했다. 이미 설탕이 꽤 들어 있는 제품인데도, 백설탕을 듬뿍 넣고 냉동고에서 ‘직접’ 얼린 얼음을 넣어 만든 그 주스는 한 시대를 풍미했다. 아이들 간식으로 ‘아이스바’를 만드는 것도 유행을 탔다. “이제 사지 말고 집에서 직접 만들어 드세요”라는 선전 문구에 다들 아이스바를 만드는 틀과 속을 채울 가루를 샀다. 그 인기는 물론 오래가지 않고 시들해졌다. 아빠가 퇴근길에 사오는 유지방이 듬뿍 든 ‘정통’ 아이스크림 맛을 이길 수 없었기 때문이다.

 

냉장고는 점점 더 커졌고, 사람들은 아이스크림이든 무엇이든 그 공간을 꽉꽉 채우는 재미로 여름을 났다. 요즘은 전문 요리사에게 냉장고를 ‘부탁’하는 시대가 되었지만, 엄마가 지성을 들여 관리하던 옛 아이스박스가 새삼 생각난다.

 

박찬일 음식칼럼니스트

'박찬일 셰프의 맛있는 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인 밥상 떠받치는 외국인 노동자  (0) 2017.07.28
우리에게 냉면이란  (0) 2017.07.14
야장을 깔다  (0) 2017.06.16
노포  (0) 2017.06.02
김밥과 5·18  (0) 2017.05.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