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의 미래

코로나19의 충격을 극복하는 식탁

어느새 우리는 모두 코로나 2년차가 됐다. 백신이 한창 접종 중이지만 우리 삶이 코로나 이전으로 돌아가기는 어려울 것 같다. 무엇보다 우리 삶에서 중요한 음식이 바뀌고 있다. 변화의 방향은 다각적이지만 근대 이후 음식 공급망의 핵심이었던 시장과 식당이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재구축되고 있다는 점이 눈에 띈다. 먹거리의 ABC가 바뀌고 있는 셈이다.

 

그렇지만 가장 우려되는 건 소득 감소에 따른 ‘영양의 충격’이다. 코로나19가 우리를 가난하게 만들어 우리를 더 배고프게 할 가능성이 높다는 뜻이다. 특히 저소득층의 충격이 크다. 한국은행이 최근 발표한 ‘코로나19가 가구소득 불평등에 미친 영향’을 보면, 2020년 2~4분기 가구소득 5분위(상위 20%) 소득이 1.5% 줄어들었지만 1분위(하위 20%) 소득은 17.1%가 줄었다. 고용 여건이 좋지 않은 일용·임시직과 워킹맘들의 소득 감소폭이 두드러졌다.

 

농림축산식품부와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지난해 7~8월 실시한 설문조사를 보면, 취약계층은 코로나19로 식료품 소비를 줄이고 있다. 보관이 쉽지 않은 생선 등 어패류 소비(45%)가 가장 많이 줄었고 과일, 가공식품(각각 29.9%), 채소(24.3%) 순이었다.

 

이미 코로나19 이전에도 계층 간의 양극화는 식탁에서도 확인돼 왔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정부의 취약계층 농식품 지원체계 개선방안’(2017년)에서 인용한 국민건강영양조사(2013~2015년) 자료를 보면, 영양섭취 부족자(에너지 섭취량이 필요 추정량의 75% 미만인 자)는 전체 8.2%였지만 최저생계비 수급자는 2배 수준인 15.5%로 거의 2배 수준이었다.

그런데 계층별 식품 구입항목을 보면 소득이 낮을수록 곡물의 소비 비중이 높았다. 심지어 곡물만 전체 계층의 평균 구입액을 넘어서기도 했다(2016년 기준). 특히 50대 이상과 여성들이 열량의 탄수화물 의존도가 높았다. 또 단백질은 전 계층이 영양 권장량 이상(125%)을 섭취하고 있었다. 백미·밀가루 등 정제 탄수화물 중심의 식사는 비만과 당뇨병을 야기한다.

 

농촌경제연구원의 국민건강영양조사 원자료(2016~2018년) 분석을 보면, 취약계층의 비만율은 최대 22.2%로 중위소득 50% 이상의 18%에 견줘 높다. 또 취약계층의 당뇨병 유병률은 최대 17.8%이지만 중위소득 50% 이상의 유병률은 6.4%에 불과하다.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를 보면, 2016년 한 해 동안 비만으로 인한 사회적 비용은 11조5000억원에 이른다.

미국 등 선진국의 연구자들은 계층 간 건강불균형의 주요한 원인으로 비타민과 무기질과 같은 미량 영양소의 섭취 부족을 꼽아 왔다. 미량 영양소는 만성질환 예방에 중요하지만 소득이 낮은 계층은 비타민과 무기질이 풍부한 신선한 채소와 과일 구입이 쉽지 않기 때문이다. 세계보건기구에서도 하루 160g의 과일과 채소를 섭취해야 한다고 권고한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1일 과일과 채소 섭취량은 100g이 되지 않으며 게다가 매년 줄고 있다. ‘2020 한국인 영양소 섭취 기준’을 보면, 우리 국민의 주요 식이섬유 섭취원은 배추김치, 사과, 감, 고춧가루, 백미 등이다. 한마디로 우리는 영양으로서 식이섬유 섭취를 크게 고민해오지 않았다는 이야기다.

 

소득이나 계층과 상관없이 우리는 식탁의 양극화를 줄이고 코로나19로 불안정해질 수 있는 식탁을 스스로 통제 가능하게 만드는 예방적 행위에 대해 고민해야 한다. 핵심은 부족하기 쉬운 과일과 채소 그리고 해조류다. 이와 함께 계란·우유·어패류·콩류 같은 양질의 단백질과 견과류·들기름 등의 식물성 지방 그리고 현미와 잡곡 등의 통곡물을 즐기는 습관이 필요하다.

 

권은중 음식 칼럼니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