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유정의 영화로 세상읽기

볼거리보다 이야기

플롯일까, 스펙터클일까. 닭이 먼저냐, 달걀이 먼저냐와 다를 바 없이 영화를 보는 데 있어서도 플롯 우선주의자와 스펙터클 우선주의자가 있다. 볼거리를 의미하는 스펙터클이 없다면 과연 영화가 소설이나 연극과 어떤 차이가 있겠냐고 물을 수 있겠고, 사실이 그렇기도 하다. 하지만 그렇다고 플롯 없는 볼거리만 이어진다면 그것 또한 행위예술이나 시각미술과 어떻게 다르냐는 질문에 대답이 궁색하긴 하다.

 

대중과 영화의 만남을 다루는 학자들의 이야기를 듣다보면 영화는 근대의 산물임이 분명하다는 생각이 든다. 이에 발터 베냐민은 보들레르의 글을 빌려, 영화를 근대인의 지각체계 변화에 대응하는 새로운 미적 수단이라고 평가하기도 했다. 영화의 형식적 원리가 충격과 혼잡함을 바탕으로 하는 도시적 감각과 어울린다고 본 셈이다.

 

‘캐리비안의 해적’ 시리즈의 다섯 번째 작품인 <캐리비안의 해적: 죽은 자는 말이 없다>의 한 장면.

 

발터 베냐민의 말처럼 영화가 탄생한 이후, 대중은 이 현란한 감각에 사로잡혔다. 영화사의 굵직한 기록들이 시각적 혁명에 닿는 이유도 여기에 있을 듯싶다. 스펙터클 역사 서사극 <벤허>도 그렇고, 가깝게는 <타이타닉>이나 <아바타>도 그렇다. 전에 볼 수 없었던 새로운 시각적 자극, 그 앞에서 많은 대중들은 환호했고 그 기술력에 감탄했다.

그런데, 돌이켜보면 과연 이런 영화들에 대한 환호가 그저 기술적인 것에 그쳤을까 싶기도 하다. <벤허>의 중심엔 복수가 있고, <타이타닉>과 <아바타>의 가운데에는 불멸의 사랑이 놓여 있다. 그리고 이런 중심의 이야기를 우리는 서사라고 부른다. 중요한 것은 그 서사가 새로운 게 참 드물다는 점이다. 불멸의 사랑이나 복수, 그 얼마나 오래된 이야기란 말인가? 그 오래된 이야기를 이렇게도 놓고, 저렇게도 놓아서 낯익지만 새로운 이야기로 만들어 내는 것, 어쩌면 그게 바로 이야기꾼들의 오랜 고민이라고 할 수 있다.

 

얼마 전 21세기 들어 가장 성공한 해양 블록버스터 중 하나인 <캐리비안의 해적>의 다섯 번째 이야기가 대중에게 선을 보였다. 영화의 중심축은 여전히 잭 스패로우 선장이다. <캐리비안의 해적>은 2003년 첫선을 보인 이후 거의 실패한 적이 없는 성공적인 프랜차이즈 영화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역시 문제는 세월이다. 잭 스패로우야 워낙 강렬한 아이 메이크업과 과도한 복장으로 생물학적 나이를 숨길 수 있겠지만 주요 인물이라고 할 수 있는 대개의 배우들이 이제 제법 나이도 먹고, 중견 배우가 되었기 때문이다.

 

이미 비슷한 문제를 경험한 <배트맨>은 정서적으로, 신체적으로 노쇠해진 배트맨을 다룬 바 있지만, 이는 영화적 환상의 외피를 찢고 현실의 개연성에 부딪치는 위험을 감수해야만 한다. 주인공이 늙고, 흔들리고, 비루해지는 것, 사실이야 그렇지만 영화란 어느 정도 물리적 세계와 동떨어진 환상의 공간 아니던가?

 

그러다보니 <캐리비안의 해적>은 여러모로 마치 <스타워즈>가 그랬던 것처럼 새로운 세대로의 캐릭터 이주를 계획한 듯싶다. 새로운 개체에 <캐리비안의 해적>이 가진 이야기 DNA를 심어놓겠다는, 말하자면 서사적 번식을 선택한 셈이다. 자, 그렇다면 문제는 다시 이야기다. <캐리비안의 해적: 죽은 자는 말이 없다>는 14년의 세월만큼 훨씬 세련된 스펙터클을 선사하고 있다. 아쉬운 건 볼거리, 스펙터클의 사실성이나 박진감이 아니라 이야기다. <캐리비안의 해적: 죽은 자는 말이 없다>의 부주제는 “나는 너의 아버지이다(I’m your father)”로 요약된다. 아주 오래전부터, 할리우드 블록버스터가 써왔던 오래되고 익숙한 주제인 가족주의의 끈을 부여잡은 셈이다.

 

가족을 소재로 한 코미디 애니메이션 <보스 베이비>의 한 장면.

특수한 구심점 없이 다양한 인종으로 결합된 미국에서 가족은 종교이며 이념이며 신념이었다. 그래서인지 어떤 시기를 막론하고 미국 영화는 늘 경건하게 가족으로 되돌아가곤 했다. 때로는 만병통치의 치유법처럼 어떤 이야기라도 가족으로 귀결된다면 그럴듯하게 여겨지도록 권유되는 작품들도 있곤 했다. 하지만 때로 그 가족이라는 게 모든 문제의 만병통치약처럼 쓰일 때, 가족은 궁색한 변명거리가 되고 만다.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가족이 먼저야, 혈육이 최고야와 같은 말을 내세우는 건 어쩐지 허약한 자기기만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비슷한 가족 이야기이긴 하지만 <보스 베이비>가 다루는 그 방식이 완전히 달라 보이는 것도 이런 맥락과 닿아 있다. <보스 베이비>는 가족의 문제에서 출발하고 있지만 가족이기 때문에 겪어야 하는 심리적 곤란을 영화의 밑바닥에 깔고 있다. 동생을 맞이해야 하는 형의 고통, 그건 모든 가족의 아름다움 아래 놓인 격렬한 감정의 파고이니 말이다.

 

만일 대중 영화가 가족을 추구한다거나 파편화된 이미지를 추구한다거나 그 어떤 징후들을 보인다 해도 그 속엔 나름의 현실성이 있기 마련이다. 그 현실성은 결국 볼거리가 아닌 오래된 이야기를 다시 들여다보고, 그 안에서 개별성을 찾아내는 노력의 산물일 것이다. 뻔한 게 문제가 아니라 그런 뻔한 문제를 뻔하지 않게 생각하는 게 중요하다. 기술보다 이야기의 힘을 찾아야 하는 우리 영화도 잊지 말아야 할 문제일 듯싶다.

 

강유정 강남대 교수·영화평론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