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유정의 영화로 세상읽기

‘원더우먼’의 힘, 여성의 힘

1893, 1918, 1928. 이 숫자가 의미하는 것이 무엇일까? 1893년은 역사상 최초로 여성에게 참정권이 주어진 해이다. 신대륙이었던 뉴질랜드였다. 1918년은 영국 여성들이 투쟁 끝에 30세 이상 참정권을 얻어낸 해이고, 1928년은 그 나이를 20세로 끌어내린 해이다. 정치 선진국이자 우리보다는 훨씬 더 진보적인 성평등을 경험한 국가로 여겨지는 영국에서, 여성이 정치에 참여할 수 있게 된 게 아직 채 100년이 안된 것이다. 영국 여성 참정권에 대한 이야기는 영화 <서프러제트>에 감동적인 이야기로 그려져 있다. 만약, 현재 개봉 중인 영화 <원더우먼>을 보기 전에 <서프러제트>를 본다면, 가볍게 스쳐지나가는 농담에서 그 이상의 맥락을 읽을 수 있을 것이다.

 

DC가 새롭게 부활시킨 <원더우먼>은 사위어 가던 불길을 살려 줄 불씨로 대접받고 있다. 아니나 다를까, <원더우먼>은 흥행과 비평 양쪽에서 그럴듯한 성적을 거두고 있는 중이다. <원더우먼>에서 가장 눈에 띄는 것은 바로 ‘여성’이다. 주인공이 여성 영웅이라서 그렇기도 하지만 아마존 데미스키라 여성 전사의 모습도 무척 강렬하다. 전쟁의 신 아레스와 대적하기 위해 끊임없이 연마하고 훈련하는 전사들에게서 여성은 유연성과 아름다움을 보태는 긍정어가 되어 준다.

 

영화 <원더우먼>의 주인공 다이애나 프린스(가운데)가 1차 세계대전에 뛰어들어 활약하는 장면.

 

원더우먼의 여성 전사로서의 가치는 오히려 그녀가 영국에 왔을 때 더욱 두드러진다. 1차 세계대전이 한창인 무렵, 런던이라는 대도시에 도착하자마자 그녀는 ‘영국식 여성’에 순화되기를 요구받는다. 분량으로 따지자면 몇 장면 되지는 않지만, 아마존다운 모습을 지우기 위해 다이애나는 백화점에서 2000벌이 넘는 옷을 입어보고, 그녀에게는 수족과도 같은 칼을 압수당하게 된다. 여성 비서는 칼을 뺏으며, 이렇게 말한다. “여성 참정권 과격운동에 참여하실라고요?”

 

<원더우먼>이 여성 영웅을 다루는 방식에 고개를 끄덕이게 되는 것은 다이애나가 가진 공감과 연민의 힘을 여성 영웅의 동력으로 이해한다는 점 때문이다. 다이애나는 정의를 위해 그리고 전사로서 악을 물리쳐야 한다는 당위성을 마음에 담고 있지만 결정적으로 그녀를 움직이게 하는 것은 주변 사람에 대한 사랑과 연민이다. 대개, 여성적 약점으로 여겨지곤 했던 감정을 다이애나는 힘의 원동력으로 쓴다. 그리고 이 순수한 열정과 사랑이 주변 사람들까지 움직이게 한다.

 

사실, 엄밀히 말해, 여성 영웅이 대중 영화의 주인공이 된 것은 처음이 아니다. 영화가 대중화되기 시작한 20세기 초, 시리얼 퀸 멜로드라마가 미국 대중 영화의 중심이 되었기 때문이다. 활기차고 독립적인 여성들은 직접 모험에 나서고, 액션을 감행했다. 소위 새로운 시대에 나타난 신여성들이 모험 활극의 주인공으로 우뚝 섰던 것이다. 하지만 이런 여성 영웅들은 대개 결혼을 기점으로 모험을 끝내거나 악당들에게 잡혀 거의 사디즘적인 고통을 받곤 했다. 기차에 줄로 묶여 있는 여성이나 입에 재갈이 물린 주인공이 얼른 떠오르는 것도 이런 영화적 관습의 결과일 것이다.

 

많은 영화학자들은 독립적인 여성의 급성장이 환호와 공포를 불러왔고, 그 결과가 바로 시리얼 퀸 멜로드라마였다고 평가한다. 이런 맥락에서 보자면, 한동안 여성 영웅이 주인공인 영화가 거의 없었던 것은 그만큼 여성의 영향력이 줄어들었다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위협적일 만큼 성장하지 않으면 다루지 않는다. 반대로 한국 사회를 병들게 하는 여혐(여성혐오) 논란도 어쩌면 여성의 상대적 성장에 대한 왜곡된 반응이었을지도 모른다.

 

최근 영화들 중 가장 인상적인 여성 영웅의 모습이라면 바로 <매드맥스: 분노의 도로>에 등장하는 여성들일 것이다. 퓨리오사가 믿는 것은 권력이나 지배의 힘이 아니라 생명의 힘이다. ‘물’에 압축된 생명의 힘은, 만삭이 된 몸으로도 동료를 지키고자 하는 여성의 모습으로, 할머니가 되어서도 딸들을 지키고자 하는 어머니의 모습으로 변주된다. 나를 위해 목숨을 버리고, 영원한 안식이라는 허망한 꿈에 스스로를 희생하라는 아버지의 명령과 달리 퓨리오사를 비롯한 여성이 꿈꾸는 세계는 강인하지만 따뜻하다. 엔진과 배기가스가 작열하는 액션 영화에서 여성이 돋보였던 이유이기도 하다.

 

<원더우먼>을 연출한 페티 젠킨스는 제작비 1억달러가 넘는 블록버스터 영화의 첫 여성 감독이라고 한다. 사실, 여전히 수많은 영화들에서 여성들은 남자 주인공의 이름만 부르거나 그나마도 그 주인공을 위기에 몰아넣는 민폐 요소인 경우가 많다. 톰 크루즈가 주연을 맡아 새롭게 리부트한 영화 <미이라>의 여주인공 제니가 얼마나 남자 주인공 ‘닉’을 부르는지, 어떤 점에서, 그녀가 하는 일이라고는 ‘닉’을 부르는 것 외엔 없어 보이는 것처럼 말이다. 차가 전복해도 닉, 좀비가 따라와도 닉, 비행기가 추락해도 닉, 물에 빠져도 닉. 어쩌면 여전히 많은 영화에서 여성은 남성 주인공의 이름을 각인하는 호명-기계에 불과할지도 모르겠다.

 

강유정 강남대 교수·영화평론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