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찬일 셰프의 맛있는 미학

김칫값 받습니다

서울 한구석에 술집을 하나 열었다. 양식을 배운 요리사이지만, 음식에 국경이 어디 있고 주민등록이 어디 있는가 하는 생각에 한식도 같이 판다. 말하자면 김치 같은 것인데, 제법 인기가 있다.

한참 무더위가 오기 전에는 오이로 소박이를 담갔다. 알이 실한 총각무도 곰삭게 익혀보았다. 무람한 일이지만, 김치에 값을 매겼다. 여러 번 말한 바 있는데, 우리 김치는 제값을 못 받아 스스로 몰락의 길을 걷는다는 생각에서였다.

식당에서 김치 한 점 씹으면서 그 원산지며 제조방법을 의심해보지 않은 사람이 드물 것이다. 매우 복합적인 문제이기는 한데, 그 원인 중의 하나는 ‘공짜’에 ‘무한 리필’인 탓도 있다고 여겼다.

그래서 백반 한 그릇보다 비싼 값을 매겨 팔았다. 대신 최고의 재료를 썼다. 만드는 이의 이름을 메뉴에 달아두었다. 하루에 몇 접시를 파는데, 그렇게 생긴 이익은 모두 다른 재료비에 투자한다는 조건을 스스로 달았다. 그러니까 김치를 팔아서 생긴 이익은 전부 손님에게 돌려준다는 생각이었다.

그런데 찬반양론이 생겼다. 그래도 김치에 돈 받는 건 너무하다, 아니다 그래야 김치가 바로 선다(?) 뭐 이런 주장이 나왔다. 나는 슬며시 즐거웠다. 김치는 돈 치르고 먹어야 한다는 내 생각이 실현됐기 때문이다. 한식당이 아니므로 이런 나의 생각은 무리가 있기는 하다. 온갖 양식 요리 사이에 슬며시 있는 것이니 그다지 의미없는 실험일 수도 있다. 그러나 돈을 치를 작정을 하고 시키는 사람의 마음이 내게 전해진다. 오냐, 내가 돈을 치르마, 대신 김치 맛이 없기만 해봐라, 이러실 수 있으니 최선을 다해 김치를 만든다. 시키는 분에게는 너무도 고마워서 슬쩍 안주도 더 집어드린다. 받는 손님은 그것이 김치를 시킨 대가라는 걸 모르겠지만 나는 기어이 그렇게 하고 만다.

김치를 담가본 한국사람이라면 다 안다. 마늘은 그래도 값이 싸지만 고춧가루와 제대로 된 젓갈 값만 해도 한 보시기의 김치에 기천원이 들어간다. 유기농 배추며 그런 것을 쓰지 않는다고 해도 말이다.

그런데 식당에서 당연히 무상으로 주는 김치의 값은 생각해보자. 그들은 어디서 양념을 거저 얻어오겠는가. 세상은 알고 보면 빤한 이치다. 당장 김칫값을 밥값과 따로 받을 수는 없을 것이다. 그러나 이런 실험을 하는 이들이-수많은 비난에도 불구하고-있어야 한다. 도전하지 않으면 변혁은 없다.

일본은 우리와 사정이 다르겠지만, 삼겹살집에 가도 김치 한 접시마다 돈을 다 치러야 한다. 1000~2000원도 아니고 배추김치는 5000~6000원도 나간다. 일본에서 사는 재료가 특별히 비싸서도, 임금과 임대료가 훨씬 비싸서도 아니다. 제대로 만든 음식에 값을 치르는 건 당연하다는 전제 때문이다. 반찬 값을 따로 받으면 물가가 뛸 것이다. 이 문제는 그래서 쉬이 주장을 펼 것은 아니다. 그래도 무언가 바뀌어야 한다는 생각을 하는 이들도 많다. 더욱이 재활용하는 문제를 거론하면 더욱 그렇다. 참고로, 한국에 진출한 대만계 식당은 김치 한 접시에 5500원을 받는다.


박찬일 | 음식칼럼니스트

'박찬일 셰프의 맛있는 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도의 행보 ‘시커먼 빵 한 조각’  (0) 2014.08.14
사라지는 중국요리 산증인들  (0) 2014.08.07
열차집  (0) 2014.07.24
광란적 에너지 시대  (0) 2014.07.17
공짜 안주는 없다  (0) 2014.07.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