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찬일 셰프의 맛있는 미학

참치눈물주

그 옛날, 갑자기 참치캔이라는 환상적인 통조림이 동네슈퍼에 깔리기 시작했다. 고작 꽁치통조림이 진열되어 있던 곳에 모양도 깜찍하고 이쁜 참치의 등장은 눈길을 끌었다. 기름기 둥둥 뜨고 비린 고등어통조림 따위는 갑자기 촌스러워졌다. 하얀 속살의 참치를 가지고 만드는 온갖 요리가 탄생했다. 분식집 메뉴도 나왔다. 참치김치찌개는 마치 100년은 된 음식처럼 식당마다 팔아댔다. 김치에 소시지가 들어가서 생겨난 부대찌개를 시샘하듯, 참치는 김치와 궁합을 맞추었다. 언젠가 전방 군부대에 갔더니 군용 식량으로 공급되고 있을 정도였다. 바야흐로 온 국민의 식량이었다. 다이어트용으로, 샐러드감으로, 100년 역사의 김밥에 첫손가락 꼽는 속이 되었다.

지방과 단백질 부족에 시달리는 우리 민족에게 참치는 멋진 세례였다. 고소한 기름과 짭짤한 참치 살이 얌전히 통조림 속에 들어가서 값싸게 팔렸다. 조미료나 치약세트가 경쟁하던 명절선물세트에 참치가 빠지지 않게 된 것도 그즈음이었다. 극장에서 틀어주던 1970년대 ‘대한뉴스’는 참치잡이 선단의 활약을 보도했다. 그 활약의 부산물인 다랑어와 새치는 ‘참치’라는 이름으로 국내에 상륙했다. 모두 참치를 먹었고, 무한정 바다에서 건지면 되는 줄 알던 특급 식량이고, 영양가 있는 구세주였다.

이제 참치라는 대명사로 불리던 엇비슷한 등 푸른 생선들이 바닥을 보이고 있다. 값도 날로 뛴다. 언제까지 이렇게 싸고 푸짐하게 먹을 수 있을지 아무도 장담 못할 지경에 이르렀다. 고갈을 확신하는 뉴스도 흔해졌다. 국내 회사들의 불법 내지는 싹쓸이 조업에 대한 국제적인 경고도 잇달았다.


한때 참치 전문집이 엄청나게 생겨나던 때가 있었다. 원양어선이 잡아들인 다양한 이른바 ‘참치’-새치와 다랑어를 다 포함하여-를 소비할 시장이 필요했던 것이다. 공급하니까 소비하는 게 아니라 시장 자체가 새로 만들어지기도 한다. 이 어류는 덩치가 커서 부위도 다양하게 나눠 공급했다. 통 마리가 나가는 경우는 거의 없고, 톱으로 썰고 분해한 덩어리 고기들이 가게로 납품됐다. 솜씨가 부족해도 주방장이 썰고 내는 데 큰 어려움이 없었다. 그 와중에 식용하기에 부적합한 고기들도 나돌았다. 어쨌거나 통조림으로, 횟감으로 온 국민이 참치를 먹어대기 시작했다. 덩달아 조미한 김과 참기름 값이 올랐다는 농담이 돌 정도였다. 덜 해동되어 차가운 참치에 기름장을 찍고, 김으로 싸먹는 방법이 있었다. 참치를 제대로 먹는 법이 아니네 뭐네 말도 많았다.

그때 단골들을 위해 주방장이 슬쩍 내주는 메뉴가 있었으니, 이름하여 참치눈물이었다. 참치의 안구 속 수정체와 방수로 짐작되는 그것을, 소주에 타서도 냈다. 기이한, 비린내 나는 묘한 술잔이었다. 국회에서 있었던, 어느 의원의 눈물바람 소동극을 보면서 왜 참치눈물이 생각났을까. 의욕적으로 출발했던 야당다운 필리버스터는 그렇게 미지근한 종말을 맞았다. 우리는 다시 통조림 참치나 씹으면서 쓴 소주를 마셔야 하는 것일까.



박찬일 | 음식칼럼니스트

'박찬일 셰프의 맛있는 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어버린 ‘한우 사골’  (0) 2016.03.17
선술집 순라길  (0) 2016.03.10
김해 돼지국밥  (0) 2016.02.25
혼밥·혼술, 되돌리고 싶은 현실  (0) 2016.02.18
‘임종 음식’  (0) 2016.0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