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찬일 셰프의 맛있는 미학

추운 겨울의 추억

아마 사십여년 전, 이즈음의 일이었을 것이다. 김치 광에 부지런히 드나들던 때가. 혹한이 절정에 달하고 반찬거리가 귀해지면 김치가 귀물이었다. 어머니는 그저 김치로 한겨울의 막막한 밥상을 보냈을 것이다. 하우스도 거의 없던 때라 푸성귀를 시장에서 구경하기 어려웠다. 그저 어머니는 김치를 믿었다. 아래쪽 경상도에 갱시기죽이라고 부르는 김치죽은 자주 먹었다. 콩나물이 있으면 넣고 없으면 그만이었다. 멸치나 몇 마리 우려서 식은 밥으로 한 끼를 차렸다. 그 맵고 시큼하며 뜨거운 맛! 요즘처럼 김치냉장고로 익힘을 조절하는 시대에서는 결코 맛보기 어려운 시절의 맛! 하기야 누가 요즘 이런 죽을 좋아하기나 할는지. ‘숭태기’라고 부르던 배추 꽁지가 걸리면 나는 더 좋아했는데, 오래 씹으면 쌉쌀하고 진한 맛이 났기 때문이었다. 가게에서 밥을 해먹는데, 설거지통에 이 꽁지가 버려져 있었다. 젊은 세대는 쓰임새를 모르는 부위가 되었다.

이즈음에는 동치미가 딱 익는 때이기도 했다. 무짠지도 마찬가지였다. 무는 물러지면 김치와 달리 쓰임새가 좁았다. 물이 많으니 맞춤한 시기도 짧았다. 딱 이맘때, 이가 딱딱 부딪치도록 추울 때 동치미를 겨울 안방에서 먹는 맛을 아는지…. 연탄 때는 구들장은 외풍으로 코는 발갛게 시려도 막 쓰는 화학솜 이불을 덮어둔 아랫목은 절절 끓었다. 그 구들에 누런색 내복 바람으로 엉덩이를 지지면서 동치미에 밥을 말거나, 국수를 넣어 먹는 맛이라니.


질 좋은 김치냉장고로 동치미는 더 맛있게 익힐 수 있을지 모르지만, 그 구들장은 어쩌란 말이냐. 그 한 시절이 가고, 우리 입맛은 이제 돌이킬 수가 없는 것인지. 날씨도 변했는지, 볼에 동상이 걸리고 귀가 얼던, 번듯한 장갑도 없어서 늘 손이 터서 피가 흐르는 바람에 약국에서 글리세린을 사서 바르던 혹한은 좀체 구경하기 어렵다. 요 며칠의 냉기가 그래서 오히려 반갑다면, 건방진 소리일까.



겨울 김치로 만드는 음식으로는 김치전도 흔했다. 엄마 표현대로 ‘얼음 밴 배추김치를 숭숭 썰고’ 묽은 반죽을 해서 까만색 프라이팬에 전을 부쳤다. 요즘도 시장에 가면 간혹 파는, 까만색 코팅이 된 싸구려 팬 말이다. 돼지비계를 넣어서 연기가 나면, 반죽을 척척 얹어서 지져냈다. 초장에는 식구들의 먹는 속도가 빨라서 날름 없어지다가 이윽고 서너 장씩 쌓인다. 이제 그만 부쳐도 된다는 신호였다. 겉은 바삭하고, 속은 시큼하고 촉촉한 어머니의 김치전. 나는 그 후로 제대로 된 김치전을 먹어본 기억이 거의 없다.

오직 불안한 그 시절의 궁핍과 귀가 떨어져나갈 것 같은 혹한이 만들어준 맛이기 때문일 터. 아아, 그때 식구들의 곤란해도 다정한 얼굴들, 어머니의 올 풀린 낡은 스웨터, 아버지가 겨울을 나던 갈색 외투에서 풍기는 겨울 냄새가 코끝을 스친다



박찬일 | 음식칼럼니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