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칼럼=====/이용재의 건축과 음식 사이

벽 답지 못한 벽 '벽’이라는 단어에 어떤 이미지, 또는 느낌이 떠오르는가? 우리가 늘 접하고 사는 그, 물리적인 벽을 바로 생각하기란 의외로 쉽지 않다. 부정적인 것들이 먼저 떠오른다. 사전을 찾아보자. ‘극복하기 어려운 한계나 장애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라고 한다. ‘넘사벽’이라는 유행어가 생각난다. 아니면 ‘관계가 교류의 단절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라고도 한다. 냉전시대의 벽, 그러니까 베를린 장벽과 같은 것들이 떠오른다. 벽은 갈라놓는다. 그래서 부정적인 이미지가 언제나 붙어 다닌다. ‘보이지 않는 유리벽’을 한탄하는 노래 가사도 있듯, 벽이 지니고 있는 부정적인 이미지는 재질보다는 존재감 그 자체에 기인한 것이다. 그러나 벽이 갈라놓지 않으면 공간도 생기지 않는다는 사실은 잊지 말아야 한다. 학부시절 읽었.. 더보기
매운맛의 폭력 어느 식당에서 아주 맛있는 오이 소박이를 먹은 적이 있다. 언젠가부터 맛있는 김치-평범하게 무나 배추로 담근-을 먹는 것도 어려워졌지만, 오이소박이를 먹는 건 정말 거의 불가능한 일이 되어버렸다. 대부분의 오이들이 금방 물러버리기 때문이다. 어머니의 손맛이 아무리 좋다고 해도, 담근지 며칠 만에 물러버리는 오이까지 살릴 수는 없다. 이때 먹은 오이김치는 구운 조개 관자와 함께 나온 것이었다. 잘 익은 김치의 상큼함이 역시 잘 구운 조개 관자의 “느끼함(사실 그다지 느끼하지 않지만 우리나라 사람들은 이를 대부분 느끼하다고 생각한다)”을 상쇄시켜주고 있었다. 그래서 둘의 궁합은 훌륭했으나, 김치 자체가 너무 매워 균형이 살짝 깨지는 것이 옥의 티였다. 식사를 마치고 셰프님과 이야기할 기회가 있어 물어보았더니.. 더보기
도시와 시간의 흔적, 그리고 서울다움 (사진은 @cjreally님에게 제공받았다) 원래 다른 글을 쓰려던 참에, 누군가의 트윗을 보게 되었다. “세운상가 뒤가 가장 서울 같아서.” 밤의 세운상가 사진이었다. ‘폰카’로 찍은 다소 조악한 느낌의 사진이 오히려 어슴푸레한 청계천의 분위기를 더 그럴싸하게 담아내고 있었다. 강남은 강남 나름의 분위기가 있다고 생각하지만, 서울하면 강북이고 또 을지로나 청계천 쪽이 가장 서울답다고 생각한다. 아름답기 때문은 아니다. 그렇다면 기와집들이 아직도 남아있는 북촌이며 가회동을 꼽아야만 할 것이다(물론 망가질 대로 망가진 삼청동은 아예 언급도 하지 말자. 혈압이 오르기 시작한다). 그러나 그런 지역은 서울을 떠올렸을 때 가장 먼저 생각나는 곳이 아니다. 서울토박이도 아닌 나에겐 을지로와 청계천 일대가 바로 그.. 더보기
"채식" 베이킹과 제과제빵에 대한 오해 (우리나라의 현실을 감안할때 채식 베이킹이 아니거나, 그렇더라도 썩 건강한 건 아닐 확률도 만만치 않은 식빵) 채식 베이킹이 유행이라고 한다. 서점에서도 만만치 않은 종류의 관련 요리책을 찾아볼 수 있다. 건강이 화두다 보니 이제는 베이킹에도 ‘채식’을 붙이는 현실이다. 일종의 의무적인 관심-직업정신에 기댄-으로 채식 또는 자연식 베이킹을 표방하는 카페 또는 제과점의 빵을 먹어보았다. 또 비슷한 컨셉트를 가지고 두부로 만든다는 대기업의 도너츠 또한 먹어보았다. 또한 몇몇 인기를 얻고 있다는 관련 책들 또한 들여다보았다. 그를 바탕으로 채식 베이킹과 제과제빵에 얽힌 몇 가지 오해, 또는 잘못된 생각을 몇 가지 짚어보고자 한다. 1. 채식 베이킹에서 ‘베이킹’은 어떤 빵류를 대상으로 삼는가? 개인적으로는 베.. 더보기
아파트에 관한 두 권의 책 전세 대란의 한 가운데 서 있다. 4월에 계약이 만료되는데, 집은 이미 다른 사람에게 팔렸다. 그러므로 다른 집을 구해 나가는 것 밖에는 다른 길이 없는데, 집을 구하기가 어렵다는 이야기는 해봐야 그저 구차할 뿐이다. 뉴스를 보니 전셋집을 구하지 못해 결혼마저 미루는 사람들도 있다고 한다. 이쯤 되면 슬퍼질 수준이다. 물론, 나에게 미뤄야 할 결혼 같은 건 없으니 다행인지도 모르겠다. 사실 전세라는 건 우리나라에만 있는 제도라고 알고 있다. 보통 월세를 낸다. 미국의 경우 집을 산다는 건 집값으로 장기 대출을 받는 돈의 일부를 초기 착수금 형식으로 자가 부담한 뒤, 나머지의 대출금과 이자를 기간 동안 갚는 형식이다. 원금을 갚는 경우는 자기 돈이 되지만, 이자만 갚는 경우라면 이 또한 월세나 다름이 없다.. 더보기
허울 좋은 '오너 셰프'의 허와 실 요즘 파인 다이닝 계의 유행은 이다. 그말 그대로, 해외 조리학교에서 조리 공부를 받고 와서 자기 레스토랑을 열어 꾸려가는 셰프들을 일컫는다. 왜 이러한 부류의 셰프들이 주목을 받고 있을까? 오너 셰프(owner/chef)란 말 그대로 주방을 꾸려 나가는 셰프가 레스토랑 자체를 소유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알고 보면 그렇게 어려운 개념도 아닌 것 같지만, 우리나라의 현실을 곰곰이 들여다보면 오너 셰프의 출현이 거의 불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일단 부동산 가격만 해도 실로 엄청난 수준인데다가, 서양 요리를 위한 주방기기를 갖추는 건 규모가 아무리 작고 또 기본적인 것만 갖춘다고 해도 많은 비용을 요구한다. 게다가 이러한 투자를 다 했다고 쳐도, 단지 우리 음식이 아니라는 이유만으로 적은 파인 다이.. 더보기
‘미디어 폴’의 존재 의미? 강남역 주변에 갈 때마다 고민하게 된다. ‘미디어 폴’이라고 이름 붙은 저 기둥들의 존재 의미는 대체 무엇일까? 세운 사람의 입장에서야 그 나름대로 거창한 명분이 있겠지만, 잠재적 사용자 또는 수혜자의 한 사람으로서는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구석이 있었다. 아니 그것은 이해라기보다 감지의 영역에 속하는 문제였다. 그 존재 자체에 아예 신경이 쓰이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렇게 그 존재 자체를 인정하지 못하는 사람을 위해서인지, 미디어 폴에 연동이 되는 홈페이지에는 친절한 소개 페이지가 있다. 궁금한 사람이라면 링크를 따라가서 직접 읽으면 된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전체를 인용할 의도는 없다. 하지만 요약하자면 우리가 익히 다 아는 ‘디자인 서울’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쾌적한 거리 조성을 위한 거리 정비와 함께 .. 더보기
<현미 선생의 도시락>과 <식객>, 맛집에 미친 우리 음식 문화 얼마 전 이라는 만화책을 읽었다. 음식을 주제로 한 일본 만화책이야 사실 셀 수 없을 정도로 많아서 이후로는 딱히 관심을 가져본 것이 없었다(심야식당 또한 4권 이후로는 읽을 필요를 못 느꼈다. 만화책 자체가 딱히 더 재미없어졌다기보다, 그런 주제를 그런 방식으로 엮는다면 곧 힘이 떨어지게 마련이다. 4,5 권까지 그럭저럭 이어나가는 것도 다행이라고 할 정도?). 을 읽게 된 건 엉뚱하게도, 어디에선가 주인공인 현미선생이 나와 닮았다는 ‘제보(?)’를 받았기 때문이다. 만화책 자체에 대한 그것보다 주인공에 대한 호기심이 지갑을 열도록 만들었다고나 할까. 주인공인 현미(유키 겐마이, 結成玄米) 선생은 동경 한 대학의 농학부 시간 강사로 부임한다. 결강이 잦은 스승의 식문화사 수업을 대체하기 위한 것이다. .. 더보기
고층 건물과 기온 변화에 얽힌 잡다한 이야기들 연일 추운 날씨가 계속되고 있다. 춥다고 말하는 것조차 지겹거나, 그도 아니면 정말 추워서 입도 움직이기 귀찮아 춥다고 말하기가 싫은, 그런 날씨다. 섭씨 영하 15도나 17도나, 어느 이하로 내려가면 다 똑같은 느낌인 것 같지만 이상하게도 강남역과 같은 고층빌딩 밀집 지역-어디 강남역 뿐이겠냐만 가장 간단한 예를 들었다-에 가면 더 추운 느낌이 든다. 왜 그럴까? 바람 때문이다. 강풍이 고층 빌딩의 꼭대기에 부딪히면 탈출구를 찾아 하강하게 되는데, 이때 가속이 붙게 된다. 그래서 일종의 제트 기류(jet stream)이 형성되는 것이다. 그래서 같은 기온이라고 해도 바람 때문에 체감 온도가 내려가게 되고, 따라서 더 춥게 느껴지는 것이다. 이 블로그를 갓 열었을 무렵 소개했던 만화책 에도 그러한 내용이.. 더보기
질 보다 양을 추구하는 음식 문화의 보이지 않는 부작용 점심을 먹고 집 앞 사거리에 나갔다 왔다. 사진을 찍기 위해서였다. 새로 열었다는 밥집의 광고 현수막이었는데, 왼쪽 귀퉁이에 떡 벌어지게 차려놓은 한 상 사진이 있고 “한정식 만원!”과 같은 문구가 붙어 있었다. 그러나 현수막은 사라지고 없었다. 분명히 일주일 정도 밖에 지나지 않았는데, 대체 무슨 일이 있었는지 모르겠다. 결국 사진은 찍지 못했다. 물론 이런 현수막을 처음 본 것도 아니었다. 길거리에 널려 있는 것이 이러한 종류의 음식점 광고 아닌가? 그런 광고 현수막들은 대부분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1. ‘엄마의 손맛’ 과 같은 정성/감성적인 요소를 강조한다. 2. 싸고 양 많은, 흔히 말하자면 ‘가격대 성능비’를 강조한다. ‘무한 리필(이 말 자체가 정말 천박하다고 생각한다. 왜 꼭 ’리필‘이라는.. 더보기
새단장한 지하철역과 '디자인'의 주체 이제는 그 역을 더 이상 ‘동대문 운동장’이라고 부를 수 없다. 운동장이 사라져 버렸기 때문이다. 우리가 알고 있는 그, 고교 야구의 추억을 안고 있는 운동장은 역사와 문화를 듬뿍 안은 공원의 제물로 바쳐졌다. 공원으로 조성한다고 하니 당연히 공원이 되겠지만, 그 이름처럼 ‘역사’와 ‘문화’를 담을 수 있을지 솔직히 회의를 느끼지 않을 수 없다. 무엇으로 그 역사와 문화를 자아낼지 알 수가 없기 때문이다. 홈페이지를 찾아보면 동대문역사문화공원은 “서울의 살아있는 역사를 만나는 역사공원”이라고 한다. 동대문 운동장은 살아있는 역사를 만들 자격이나 역량이 없기 때문에 헐어야만 했을까? 잘 이해가 가지 않는다. 알려진 것처럼, 동대문운동장 터에 새 ‘디자인 플라자 & 파크’를 시공하는 와중에서 조선시대의 유적.. 더보기
'쥐 식빵'과 빵의 측은한 현실 결국 ‘쥐 식빵’ 사건이 경쟁업체 주인의 자작극으로 판명되었다. 개인적으로는 지나치게 극단적인 전략이었다는 생각을 지울 수 없다. 남의 빵에서 쥐가 나올 수 있다면, 내 빵에서도 쥐가 나올 수 있을 거라고 소비자들은 생각하기 쉽다. 빵을 절대 잘 만든다고 생각하지도 않고 사먹지도 않지만 그 정도 규모의 프랜차이즈라면 쥐가 나올 정도로 위생관리가 안 되는 것이 정말 가능한지, 그게 궁금하다. 유탕처리한 과자 같은데서 벌레가 나오는 것과 빵에서 쥐가 나오는 건 전혀 다른 사안이라고 생각한다. 그걸 생각해보지도 않고 행동에 옮겼다면 그 일을 꾸민 사람 또한 빵을 만들 줄은 알아도 빵에 대한 이해는 떨어진다고 말할 수 있다. 성탄절 전후의 케이크 판매는 저조했다고 들었다. 상표를 막론하고 제빵류, 또는 대량 생.. 더보기